디지털 덴티스트리 선도기업 디오가 오는 23일부터 24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YESDEX 2024’에 참가해 다양한 신제품을 소개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디오는 ▲진단 ▲임플란트 시스템 ▲발치 후 즉시 ▲핸즈온 체험 ▲시멘트리스 보철 ▲재료 및 현장 판매 ▲디지털존 ▲교정 등 진단부터 시술 마무리까지 모든 과정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부스를 선보인다. 특히 ‘복잡하고 까다로운 GBR 수술, 누구나 쉽고 편하게’라는 콘셉으로 발치 후 즉시 식립 솔루션을 소개하며 일요일 오전 11시 30분과 오후 3시 30분에는 서정욱 원장(연세편안한치과)이 ‘어려운 발치 후 즉시 식립도 디오와 함께라면’을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이 외에도 디오의 디지털 덴티스트리 혁신 제품군이 대거 출품된다. ▲누적 식립 100만 홀 달성을 앞둔 디지털 임플란트 시스템 ‘DIOnavi.’ ▲디지털 무치악 임플란트 솔루션 ‘DIOnavi. Full Arch’ ▲높은 스캔 정확도와 AI 성능을 갖춘 ‘TRIOS Core’ ▲시멘트리스 보철 솔루션의 핵심인 ‘UV+ Abutment’ 등 다양한 제품이 공개된다. 특히 디오는 이번 전시에서 유럽산 고품질 원재료로 제조된 정밀 인상 채득용 프리미엄 친수성 인상재 ‘DIOSIL’을 공식 출시한다. ‘DIOSIL’은 Heavy Body, Light Body, Bite, Putty 타입으로 구성, 다양한 시술 환경에 맞춘 특장점을 지녔다. 디오 측은 이번 신제품 ‘DIOSIL’이 높은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개원가에서 큰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 밖에 학술 프로그램으로는 23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2전시장 2층 125-126호에서 강재석 원장(목포 예닮치과병원)의 ‘Full Arch를 위한 정확한 진단과 구강 스캐너를 이용한 Digital Workflow’ 강연이 진행된다. 강연 후 청강자들에게는 디오 부스에서 실시되는 경품 추첨에 응모할 수 있는 추첨권이 증정될 예정이다. 또 토요일 디오 부스에서는 무치악 환자 대상 디오나비 풀아치 시술을 1000건 이상 진행한 최강덕 원장(선한이웃치과)이 ‘DIOnavi. FullArch의 이해와 임상적 접근’을 주제로 미니 강연도 진행한다. 아울러 디오는 부스 방문 상담 고객에게 디오 3D 프린터 PROBO Z, LG 스탠바이미, 백화점 상품권(30만 원) 등 2000만 원 상당의 경품을 추첨을 통해 증정한다. 또 스탬프 투어, 카카오톡 친구 추가 이벤트, 캐리커처 배지 제작 등 다채로운 현장 이벤트를 통해 참가자들의 즐거움을 더할 예정이다. 이창민 이사(디오 마케팅기획팀장)는 “이번 전시는 디오의 독보적인 기술력을 선보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핸즈온 부스를 확대했다”며 “이번 YESDEX에서는 유익한 강연 프로그램은 물론 특별한 경품들을 푸짐하게 준비했으니 많은 분들이 디오 부스를 방문해주시기 바란다”라고 전했다.
티에네스와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가 산학 간 인적·프로그램 교류를 위해 손을 잡았다. 티에네스와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가 지난 10월 30일 산학협력(MOU)을 맺었다. 양측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인적·프로그램 교류를 바탕으로 치과위생사 역량 향상에 힘쓸 방침이다. 티에네스는 지난 2020년 1월에 설립돼 2021년 4월 Serafin Clear Aligner 장치를 론칭했다. 이후 지속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플랫폼 서비스 고도화, 신제품의 출시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점차 넓히며 현재 국내 투명교정장치 시장에서 국내 기업 점유율 최상위 기업으로 성장했다. 아울러 지난해에는 유럽의료기기 규정(CE MDR) 인증 획득하고, 올해 3월 초 미국 식품의약국(FDA) 510(k) 최종 승인을 받아 글로벌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장원건 티에네스 대표는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와 산학협력을 통해 양기관의 상호 지속적인 협력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며 "취업연계를 통해 세라핀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채용해 함께 성장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BETTERTODAY가 ‘환자경험관리 경영지침서’ 신간 출판 기념행사를 연다. ‘환자경험관리 경영지침서’ 신간 출판기념회가 오는 11월 24일 서울 마곡 오스템임플란트 B동 3층 세미나실에서 진행된다. 이날 저자인 최희수 원장(상동21세기치과의원)의 사인회와 더불어 무료로 진행되는 특별 강연이 준비됐다. 선착순 40명 모집 중이며, 행사 현장 방문 시 신간 할인 특전 판매는 물론, 내년 1월 19일 세미나 보험‧노무‧세무 특강 관련 50% 할인권을 제공한다. ‘환자경험관리 경영지침서’ 책은 ▲환자 응대의 중요성 ▲진료 중 환자 경험 ▲사후 관리 ▲불만환자 대응법 ▲CRM을 통한 환자와의 소통 등 다섯 개의 섹션을 기반으로 목록을 구성, 환자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경영 전략과 사례를 다뤘다. 특히 환자 응대의 중요성에 있어서는 환자가 병원을 처음 방문했을 때 접수 및 응대에 관해 다룬다. 이는 치과 의료진이 환자에게 긍정적인 첫인상을 심어주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전한다. BETTERTODAY 관계자는 “최 원장의 신간은 환자 관리와 실제 경영 사례를 통해 병·의원의 매출을 높이는 지침서로, 이번 행사를 통해 독자와 병원 경영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의료기기 허가 변경 간소화 대상을 확대하고 이 같은 사례를 담은 안내서를 최근 펴냈다. 식약처는 의료기기 허가(신고)를 받은 업체의 경미한 변경 보고, 세부 절차·사례 등을 담은 ‘의료기기 경미한 변경 보고 민원인 안내서’를 개정·발간했다고 밝혔다. ‘의료기기 경미한 변경 보고’는 신고·인증·허가된 의료기기의 변경되는 사항이 제품의 성능 및 안전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변경으로 식약처장이 정하는 경미한 사항에 대해 단순 보고만으로 변경허가 또는 변경인증·신고 절차를 갈음할 수 있는 간소화 제도를 의미한다. 이번 안내서의 주요 개정 내용은 ▲보고대상 확대 등 ‘의료기기 허가·신고·심사 등에 관한 규정 개정’ 사항 반영 ▲민원 신청화면 구성 변경 등 의료기기 전자민원시스템 개편 사항 반영 ▲다빈도 오류 보고 사례 등 추가이다. 특히 라벨 디자인, 구성품의 외형 디자인 변경 등을 경미한 변경대상으로 확대하고, 변경 대상 판단흐름도 구체화 했다고 식약처는 밝혔다. 식약처 관계자는 이 같은 조치와 관련 “이번 개정 안내서가 의료기기 경미한 변경 보고에 대한 민원인의 이해도를 높이고 제품의 효율적인 변경·관리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의료기기 업계와 적극적으로 소통해 불필요한 절차적 규제를 과감히 개선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안내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대표 누리집(mfds.go.kr) → 법령/자료 → 공무원지침서/민원인안내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덴티움이 유럽 최대 규모 임플란트 학회 ‘EAO 2024’에 참가해 자사의 주요 제품을 집중 홍보했다. Regenernation 제품 홍보, B.T.S의 Hands-on 체험 부스를 운영, 고객에게 브랜드 이해도를 높였다는 평가다. 덴티움은 지난 10월 24일부터 26일까지 MiCo-Milano 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EAO 2024’에 참가해 부스를 운영했다. 덴티움은 메인 부스에 bright CT를 배치해 Digital 브랜드 컨셉을 강조했다. bright CT는 저선량의 선명한 파노라마로 정확한 진단 및 3D Viewer 기능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쉽고 빠르고 간편한 수술과 Short&Narrow 컨셉을 가진 bright Implant ▲빠르고 정확한 Wireless 구강스캔이 가능한 Shining 3D AoralScan ▲IOS 대비 정확한 인상채득과 보철제작이 강점인 B.T.S 등 주요 제품을 전시했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 덴티움은 관람객에게 Hands-on 체험을 제공해 호평을 받았다. 임상철 원장(미사웰치과)이 bright implant system, DASK Simple, OSTEON™ 3 Collagen의 사용법을 소개했으며, Prof. Frank Maier(University of Tubingen)가 DASK Simple을 활용한 Sinus simple 증례 소개 및 bright implant 활용 Sinus simple Hands-on을 진행했다. 이 외에 Dr. Cosmin Dima가 DASK와 DASK Simple의 차이점을 소개했다. 참가자들은 덴티움의 제품들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핸즈온에 높은 만족도를 표했다는 전언이다. 덴티움 관계자는 “이번 EAO 2024에서 덴티움의 Simple & Minimalism 컨셉을 부스 디자인에 반영, 간결하고 정돈된 디스플레이를 선보임과 동시에 전시, Hands-on 체험 등 다방면으로 덴티움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했다. 특히 주목받은 bright CT를 통해 관련업계에서 어떤 제품을 원하는지 수요를 파악했던 소중한 시간이었다”며 “향후 참가할 행사에서는 이번 행사에서 아쉬웠던 점을 개선해 관람객에게 덴티움 브랜드를 더 정확히 알리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네오바이오텍(이하 네오)의 기술력에 유럽 임상가들이 엄지를 치켜들었다. 네오는 지난 10월 24~26일까지 유럽 최대 규모 임플란트 학회 ‘EAO 2024’에 참가해 혁신적인 기술력으로 개발된 다양한 솔루션을 선보였다. 특히 유럽 임상가들은 네오의 독보적인 콘셉트인 ‘AnyTime Loading’을 위한 ‘CMI Fixation’이 적용된 임플란트 ‘IS-II’, ‘IS-III’와 스크류 홀이 없는 차세대 임플란트 보철 ‘YK Link’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였다. 네오 부스를 방문한 한 참관객은 “네오의 혁신적인 기술력으로 개발된 솔루션들을 직접 경험하고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어 만족스러웠다”며 “특히 YK Link의 경우 기존 임플란트 보철 방식과는 다르게 스크류 없이 보철물을 강하게 체결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 Sinus Lift Solution의 원조인 ‘SCA Kit’와 ‘SLA Kit’는 상악동 거상을 빠르고 손쉽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으며, 픽스쳐와 스크류, 어버트먼트까지 토탈 리페어가 가능한 ‘All-in-One Remover Kit’, 임플란트 고정력을 단 2초 만에 측정할 수 있는 ‘AnyCheck’도 참관객들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이 밖에 정밀하고 정확한 인상 채득을 할 수 있는 ‘PickCap Impression Kit’와 구강스캐너 ‘i900’, 임플란트 임시치아 ‘Magic I Temp’ 등도 소개됐다. 네오 관계자는 “이번 EAO 2024는 네오의 혁신적인 제품과 다양한 임상 사례를 전 세계 치과 전문가들에게 소개할 수 있는 중요한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차세대 제품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세계적인 치과 임플란트 전문 기업 스트라우만 코리아(Straumann Korea, 이하 스트라우만)가 파트너사의 상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했다. 스트라우만은 지난 10월 22일, 하반기 파트너스데이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행사는 상반기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된 것으로 총 10개의 파트너사에서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파트너스데이에서는 임플란트 시장의 변화와 어려움에 대한 논의가 중심이 됐다. 특히 환자들의 덴탈 아이큐가 높아지고 임플란트 수가는 계속해서 경쟁적으로 낮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단순히 가격을 낮추는 전략으로는 경쟁 치과와의 싸움에서 승리할 수 없다는 점이 강조됐다. 이에 스트라우만은 제품 차별화를 통해 환자들과의 신뢰를 쌓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공유했다. 스트라우만은 이번 행사에서 스트라우만 임플란트와 치주조직 재생 치료제인 엠도게인(Emdogain)을 활용한 치과 경영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스트라우만 임플란트는 뛰어난 생체 적합성과 혁신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환자들에게 안정적이고 오래 지속되는 결과를 제공할 수 있어, 단순한 가격 경쟁을 넘어서는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또 엠도게인은 자연 치아를 보존하면서 치주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독창적인 솔루션으로, 환자들이 임플란트 대신 자연 치아를 보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치과의 차별성을 높일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소개됐다. 아울러 이를 통해 환자들에게 신뢰를 쌓고, 장기적으로는 치과 경영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도 강조됐다. 또 치과 전문의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스트라우만 BLX 임플란트 교육도 이어졌다. BLX는 한국 시장에 최적화된 디자인과 재질, 표면 처리를 자랑하며, 특히 빠르고 안정적인 식립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스트라우만의 독보적인 록솔리드(Roxolid) 재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티타늄 Grade 4보다 최대 80% 높은 인장강도를 제공, 파절 위험을 줄여 안정성을 크게 높였다. 이 밖에 이날 행사에서는 스트라우만 창립 70주년을 기념하는 영상 시청도 이어져 눈길을 끌었다. 스트라우만 관계자는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서도 스트라우만의 뛰어난 기술력과 제품으로 파트너사와의 상호 성장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인공지능(AI) 디지털 치과 솔루션 전문 기업 이마고웍스 주식회사가 KPAS 2024에 선정됐다. 이마고웍스는 최근 KT와 한국경제신문사가 공동 주관한 KPAS 2024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KPAS는 국내 AI 산업 성장과 미래 AI 유니콘 기업을 발굴 및 지원하고자 마련됐다. 기업 가치 1000억 원 이상, 7000억 원 이하의 기업이 선정 대상이며, 벤처캐피털(VC) 관계자 및 국내 AI 산업 전문가가 3차례에 걸친 심사를 통해 20개 기업을 선정한다. KPAS에 선정된 기업은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이 유력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유니콘기업이란 10억 달러 이상 가치를 지닌 창업 10년 이하 비상장 스타트업 기업을 뜻한다. 특히 이마고웍스는 치과 의료 분야에서는 유일하게 AI 서비스 분야에 이름을 올렸다. 이는 이마고웍스의 대표 서비스인 ’덴트버드 솔루션(Dentbird Solutions, 이하 덴트버드)’의 우수성을 입증받았다는 평가다. 덴트버드는 이마고웍스가 자체 보유한 3D CAD 기술 및 특화 AI 기술과 웹 브라우저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SaaS(Software-as-a-Service) 기술을 융합한 AIaaS(AI-as-a-Service) 형 솔루션이다. ▲치아 보철물 자동 디자인 솔루션 ‘덴트버트 크라운’ ▲환자 CT, 구강, 안모 등을 촬영한 3D 데이터 분할 및 정합 등 전처리 과정 자동화 시스템 ‘덴트버드 스튜디오’ ▲구강 또는 모형의 3D 스캔 데이터를 바탕으로 3D 프린팅 실물 모형을 제작‧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덴트버드 모듈러’ 등의 기능을 지원한다. 특히 이마고웍스는 올해 4월 ‘덴트버드 배치(Dentbird Batch)’를 출시하며, 기술력 강화에 나섰다. 덴트버드 배치는 보철물 디자인을 AI가 자동 처리 및 완료하는 소프트웨어로, 중대형 치과병원 및 치과기공소 생산성 증대에 기여한다. 덴트버드는 현재 전 세계 110여 개 국가에서 1만4000여 명의 치과의사, 치과기공사 등이 임상에 적용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선정에 대해 김영준 이마고웍스 대표는 “이번 KPAS 2024에 선정돼 영광스러우며, 특히 치과 의료용 소프트웨어 불모지인 국내에서 이마고웍스가 가진 AI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기쁘다”며 “앞으로 더 많은 AI 기술 개발을 통해 국내를 넘어 글로벌 치과 시장의 AI 디지털 덴티스트리 기술을 꾸준히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덴티스가 유럽 시장에서의 브랜드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덴티스가 지난 10월 24일부터 26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된 유럽 임플란트학회 ‘EAO 2024’에 참가했다. EAO(European Association For Osseointegration)는 IAO, EAO, SIdP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행사로, 유럽의 임플란트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중요한 자리다. 올해 진행된 ‘EAO 2024’는 10월 24일부터 26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 MiCo - Milano Convention Centre에서 개최됐으며, 글로벌 임플란트 기업 및 세계 각국의 치과의사들이 대거 참석해 활발한 논의와 교류가 이뤄졌다. 덴티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동시에 유럽 지역의 신규 딜러를 발굴하고, 신제품을 소개했다. 특히 임플란트 SQ Long, EQ, 디지털상부 Scanbody Pro 등 유럽 시장을 겨냥해 개발된 신제품을 대거 선보였으며, 임플란트 고정도 측정기 ChecQ(첵큐)를 유럽에서 전시해 참가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덴티스 관계자는 “유럽 최대 규모 임플란트학회인 ‘EAO 2024’에 참가해 자사 임상 솔루션을 선보여 기쁘다”며 “또 유럽 출시를 앞둔 신제품에 대한 참가자들의 많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적극적인 전시 참여 등을 통해 유럽 고객들과의 접점을 늘려 나가겠다"고 밝혔다.
휴덴스바이오가 HODEX 2024에서 OCP 함유 골이식재 ‘Bontree+(이하 본트리)’를 홍보해 좋은 반응을 얻었다. OCP(Octacalcium Phosphate)는 인체 뼈의 무기성분인 하이드록시아파타이드(HA)의 전구체로 동종골, 이종골이 가지는 교차감염의 위험을 극복하면서도 빠른 신생골 형성과 동종골 수준의 골재생능을 보여준다. 휴덴스바이오는 OCP 골이식재 본트리를 세계 최초로 대량생산에 성공하며 합성골에 대한 인식을 바꿔나가고 있으며, 개원가에서 입소문을 타며 유저들이 늘고 있다. 전시 현장을 찾은 호남지역 개원의들은 OCP 골이식재의 임상효과와 활용방법에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휴덴스바이오는 GBR과 관련한 국내 정상급 연자들과 함께 본트리의 임상 효과를 개원가에 적극 알리고 있으며, 하반기에도 계속해 관련 세미나 등을 통해 본트리를 홍보한다는 계획이다. 휴덴스바이오는 본트리 외에도 다이아몬드 버 ‘BURSTAR-D’, 카바이드 버 ‘BURSTAR-FG’, 임시치관용 레진 ‘EZ-TEMPO’, 연질의치상 이장재 ‘EZ-SOFT’, 합금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