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과의사학회(이하 치과의사학회)가 역사를 통해 치의학의 흐름과 미래를 조명했다. 치과의사학회는 지난 20일 서울 마곡지구 오스템임플란트 대강당에서 ‘2024 종합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치과의사, My Way를 가다’를 대주제로 치의학의 역사부터 치과계 산업 흐름 등 다양한 주제를 인문학과 융합해 다채롭게 진행됐다. 특히 이번 학술대회는 약 230명이 사전 등록해 참가자들의 큰 기대를 모았다. 이번 학술대회는 각 분야 연자 6명으로 진행됐고 오전 세션에는 권 훈 원장(미래아동치과의원), 최규옥 회장(오스템임플란트), 권민수 원장(올소치과의원)이 나섰다. 권 훈 원장은 ‘대한민국 치과의사 함석태 전기’를 연제로 대한민국 최초 치과의사인 함석태의 삶을 이야기하며 그가 가졌던 치과의사로서의 혼과 얼을 강조해 큰 울림을 줬다. 이어 최규옥 회장이 ‘한국 임플란트 역사’를 주제로 오스템임플란트가 한국과 글로벌 치과 시장에서 걸어온 길과 미래 계획에 대해 말해 눈길을 끌었다. 이어 권민수 원장은 ‘턱교정수술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라는 주제 아래 턱교정수술 치료 발전에 대해 고찰하며 부정교합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치과의사들의 역할을 시사했다. 두 번째 세션에는 김창수 대표(김창수 위스키), 이노범 대표(휴덴스 바이오), 장성욱 대표(마루치)가 강의했다. 김창수 대표는 ‘위스키와 치과 : 위스키를 만들기까지’를 주제로 치의학 역사에서 엿볼 수 있는 위스키 일화와 건강한 음주 방법을 공유했다. 이어 이노범 대표가 ‘골이식재의 패러다임 변화’라는 주제를 통해 골이식재 개발의 진행 상황과 함께 OCP 기반 소재와 관련된 임상 결과를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장성욱 대표가 ‘MTA의 어제와 오늘’을 주제로 문헌 고찰과 함께 MTA가 나아갈 앞으로의 역할에 대해 다뤘다. 이 밖에도 이날 행사에서는 오스템 사옥 투어와 포스터 수상작에 대한 심사가 이뤄졌다. 권 훈 치과의사학회장은 “지난 1960년도부터 창립돼 학회가 64년 동안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이번 학술대회가 더 많은 젊은 치과 원장들과 업계 종사자에게 좋은 계기가 돼 더 성장할 수 있는 학회가 되길 바란다”며 감사 인사를 전했다.
악골괴사증과 관련해 국내외 최신 가이드라인을 총망라해 개원의들에게 확실한 임상팁을 제공한 세미나가 열렸다. 이화여자대학교 악골괴사질환 임상연구센터·임상치의학대학원 주관으로 마련된 ‘약물관련 턱뼈괴사 학술 심포지엄(2024 MRONJ Symposium)’이 지난 10월 20일 서울성모병원 마리아홀에서 1500여 명의 치과의사들이 몰린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세미나는 이화여대 악골괴사질환 임상연구센터 개소 10주년을 기념하는 심포지엄으로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대한골대사학회, 대한골다공증학회, 대한내분비학회가 공동주최로 참여했으며, 이대서울병원 구강악안외과의 김선종 교수(이화여대 임치원장)가 학술대회장, 김진우 교수가 조직위원장을 맡아 준비했다. 김선종 학술대회장은 “이화여대 악골괴사질환 임상연구센터가 2014년도 개소해 의과대학병원에서는 선도적으로 악골괴사질환 관련 연구를 많이 하고, 국책과제도 많이 수행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나와 있는 문헌들과 임상적인 결과들을 잘 정리해 실제 임상현장에서 치과의사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는 시간을 갖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는 “의과의 내분비학회, 골다공증학회, 골대사학회 교수들과 구강악안면외과 교수들이 수차례 모여 많은 협의를 통해 공통적으로 인정하고 발표할 수 있는 내용들을 마련했다. 미국과 일본 등 해외 각국에서 포지션 페이퍼,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본 분들을 초청해 세계적인 동향도 살펴보는 기회도 마련해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참여해 준 것 같다. 앞으로도 악골괴사질환센터를 통해 MRONJ 관련 연구를 선도적으로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강연에서는 최은주 교수(원광치대 구강악안면외과)가 ‘MRONJ 정의 및 진단, 영상학적 특징’, 이동욱 교수(국립암센터 산부인과)가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데노주맙, 어떤 것이 더 위험한가? 새로운 약제의 위험성’, 박정현 교수(이대목동병원 구강악안면외과)가 ‘한국인 실제 인구기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약물관련 악골괴사증의 이해’ 등의 강연을 펼쳤다. 또 김윤학 교수(부산대학교 의생명정보학과)가 ‘멀티오믹스 데이터의 MRONJ 병인분석과 예후예측을 위한 임상적 적용’, 김범준 교수(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가 ‘Osteoporosis Treatment Strategies with Zoledronate’, 김재영 교수(강남세브란스병원 구강악안면외과)가 ‘임플란트 관련 MRONJ’등을 주제로 강의했다. 특히, 특별 초청 강연으로 Reuben Kim 교수(UCLA)가 ‘MRONJ and Osteomucosal Immunology’, Hiromitsu Kishimoto 교수(Hyogo University)가 ‘Latest MRONJ Position Paper 2023 in Japan’, Tara Aghaloo 교수(UCLA)가 ‘MRONJ-Clinical and Research Updates for the Practicing Clinician’을 주제로 강의하며 미국과 일본의 가이드라인을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끝으로 김선종 교수가 ‘MRONJ 전반적 관리 프로토콜 제안’, 김진우 교수가 ‘MRONJ 완치 후 골이식과 임플란트’, 권대근 교수(경북대학교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가 ‘MRONJ의 수술적 처치, 보존적 처치 혹은 조기 절제?’를 주제로 강의했다. 김진우 조직위원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올해 초 MRONJ Position meeting이 약 15년 만에 조직되면서 함께 기획됐다. 발생률은 낮지만 일단 발생하면 고령 환자에게 심각한 삶의 질 저하를 야기하기에 치과와 의과의 충분한 소통과 공감을 통해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며 “MRONJ Position meeting에는 5개 학회에서 20명의 전문가가 참여하며, 협동으로 MRONJ의 역학, 진단, 예방, 치료에 대한 근거 기반의 심도 있는 토의를 통해 합의문을 작성, 2025년 상반기 발간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은 그 초석으로 준비했다. 참석한 모든 분들께 유익하고 의미있는 시간이 됐길 바란다”고 말했다.
오는 11월 10일 쿠보텍(KUWOTECH)이 임플란트 치료 솔루션의 모든 것을 선보인다. 2024 쿠보텍 임플란트 심포지엄이 서울 코엑스 그랜드 컨퍼런스룸에서 11월 10일 개막한다. 국내 저명 연자가 대거 참여하는 이날 심포지엄은 안정성부터 주위염, 고령환자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쿠보텍 임플란트가 축적한 임상 노하우의 진수를 만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 자리에서는 ‘쿠보텍 임플란트(KISplant)’와 ‘TLplant’의 치료 솔루션이 집중 조명될 예정이다. KISplant는 찢김 현상 개선, SLA 표면처리를 통한 우수한 골유착, 장기간 예방 가능한 임플란트 주위염 등을 내세우는 쿠보텍의 대표 임플란트다. TLplant는 쿠보텍이 임플란트 주위염 30년 치료 경험을 녹여 개발한 임플란트다. 특히 전치부, 소구치 발치와 등 좁은 골폭에 최적화된 임플란트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강연에는 정철웅 쿠보텍 대표(첨단미르치과병원 대표원장)를 비롯해 조승헌 원장(세인트치과의원), 한창훈 원장(닥터스치과의원), 이중석 교수(연세대), 박성재 원장(지디플란트치과의원), 창동욱 원장(윈치과의원), 박찬 원장(찬치과의원), 임진수 원장(순천미르치과의원), 최진 원장(서울미르치과의원)이 나선다. 아울러 이 자리에서는 강연뿐 아니라 경품 추첨 등 참가자를 위한 다양한 부대 행사도 펼쳐질 예정이다. 쿠보텍은 “30년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경험으로 탄생한 TLplant를 통해 안전하고 간편한 시술, 특히 고령 환자를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며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박재현 교수(애리조나치대 교정과장)가 지난 14~19일 이탈리아 3개 치과대학과 치과교정학회(Italian Society of Orthodontics·SIDO) International Annual Congress의 연자로 초청돼 열강을 펼쳤다. 강의와 함께 Angle-net Comes Alive in SIDO Symposium의 좌장을 맡으며 학회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올해로 55주년을 맞는 SIDO International Congress는 이탈리아 Florence에서 열렸으며, 올해 주제는 ‘BUILDING BRIDGES FOR THE FUTURE’를 주제로 진행됐다. 박 교수는 ‘The Quest for Excellence: What Defines Great Results?’라는 주제로 강의를 성황리에 진행했다. 또 박 교수는 SIDO International Congress 방문에 앞서 UNIVERSITY OF MILAN, UNIVERSITY OF NAPLES FEDERICO II, UNIVERSITY OF FERRARA 등 3개 치과대학 교정과 초청 강의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박재현 교수는 “이탈리아 현지 치과의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할 수 있어 영광이었다. 세계의 치과의사들에게 최신의 지견을 전달하는데 더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박재현 교수는 현재 전미주 미국교정전문의협회(ABO)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치과 교정 학회지 중에 Citation index가 가장 높은 미국치과교정학회지(AJO-DO)의 Deputy Editor-in-Chief로도 활동하고 있다. 2032년에는 전미주 Angle Society 회장으로 취임한다.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가 운영하는 치과 종합포털 덴올의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수요세미나가 올해 마지막 강연을 대한턱관절교합학회(이하 교합학회)와 함께 한다. 임상 교합과 관련한 내용을 연자가 쉽게 풀어 전달하는 형태로 시청자들과 소통을 통해 콘텐츠를 구성할 예정이다. ‘Bridging the gap between TMD and Clinical Occlusion’를 대주제로 진행될 이번 수요세미는 오는 11월 6일부터 12월 18일까지 총 14개의 흥미로운 강연을 이어간다. 참여 연자는 박 찬 교수(전남대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송주현 교수(조선대 치과병원 치과보철과), 김소연 교수(경북대 치과병원 치과보철과), 이선기 교수(원광대 대전치과병원 치과보철과), 서재민 교수(전북대 치과병원 치과보철과), 송영균 교수(단국치대 치과보철학교실), 홍성진 교수(경희대 치과병원 치과보철과), 김재영 교수(연세치대 보철과학교실), 공현준 교수(원광대 치과병원 치과보철과), 최영윤 교수(수원과학대 치위생과), 김기서 원장(연세김치과의원), 명양호 원장(바른명치과의원), 박형욱 원장(연세이도치과의원), 박근정 진료지원실장(국군수도치과병원) 등이다. 특히 ▲11월 6일 송주헌 교수의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교합 채득 노하우’ ▲11월 13일 이선기 교수가 강연하는 ‘임플란트를 활용한 하악 무치악 교합 만들기’ ▲11월 20일 송영균 교수의 ‘임플란트 교합 기본기 다지기’ 등이 주요 강연으로 꼽힌다. 해당 강연은 개원가에서 즉각적으로 적용 가능한 유익한 내용들로 구성돼 있다. 올해 17주년을 맞은 '수요세미나는 지금까지 총 11개 학회와의 협업을 통해 치의학 저변 확대에 기여해 왔다. 내년 1분기에는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와도 협업할 계획이다. 수요세미나는 매주 수요일 오후 8시에 라이브스트리밍으로 진행되며, 실시간 채팅을 통해 연자와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다. 채팅에 참여할 경우 추첨을 통해 스타벅스 커피 쿠폰을 받아 볼 수 있으며 모든 방송은 치과 종합포털 덴올을 통해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김성택 교합학회 회장은 “개원의들이 평상시에 관심을 가졌던 TMD, 그리고 임상 교합에서 어려운 점이 많았던 내용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14명의 연자들과 준비했으니 많은 관심과 시청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네오바이오텍(이하 네오)이 지난 4월 27일부터 9월 29일까지 진행한 ‘2024 GAO AI Course(All about Implant)’ 정규코스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정규코스는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총 12회에 걸쳐 청담 GAO 세미나실에서 진행됐으며, 허영구 원장(닥터허치과), 이성복 명예교수(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김남윤 원장(김남윤치주과치과) 등 GAO 패컬티 총 21명의 치과 전문의들이 연자로 참여했다. 연자들은 ▲임플란트 치료 ▲무치악 임플란트 치료 ▲발치즉시식립 ▲Implant Complications ▲GBR을 주제로 최신 임상 정보와 풍부한 노하우를 전수해 참가자들의 높은 만족도를 이끌어냈다. MZ세대 치과의사들이 다수 참여한 이번 세미나는 활발한 의견 교환과 심도 있는 실습 교육을 통해 참가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끌어내기도 했다. 또 실질적인 임상 노하우와 네오의 다양한 제품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만족도를 더했다. 특히 네오의 독보적인 콘셉트인 ‘AnyTime Loading’을 위한 최적의 임플란트 초기 고정력 이론 ‘CMI Fixation’을 가능하게 해주는 ‘IS-III’ 임플란트와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기 ‘AnyCheck’, 스크류 홀이 없는 차세대 임플란트 보철 ‘YK Link’를 비롯해 디지털 가이드 솔루션인 ‘Neo NaviGuide’, ‘VAROGuide’와 토탈 리페어 솔루션 ‘All-in-One Remover Kit’ 등 네오만의 혁신적인 기술력으로 개발된 다양한 제품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시간이 마련돼 의미를 더했다. 이번 정규코스에 참가한 한 임상가는 “라이브 서저리와 실제 임상 케이스를 통해 최신 보철 트렌드인 ‘YK Link’를 직접 경험할 수 있어 큰 도움이 됐다”며 “기존 임플란트 보철 방식과는 다르게 스크류 없이 보철물을 강력하고 쉽게 체결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네오 관계자는 “예상보다 많은 분들이 강연에 참여해 열정적인 반응을 보여줬다”며 “참가자들의 뜨거운 관심과 기대에 힘입어 내년에도 GAO AI Course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제22회 가톨릭대학교 치과학교실 학술강연회가 ‘치료 성공을 위한 숨은 리스크 관리’라는 대주제로 오는 12월 1일 가톨릭대학교 성의회관 마리아홀에서 개최된다. 이번 학술강연회에서는 분야별 전문가가 연단에 올라 성공적인 치료 결과를 얻기 위한 노하우를 전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전에는 ‘치과 진료 현장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의뢰가 필요한 분들을 알아보는 법’(왕성민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성공적 진료의 기본 – 감염 리스크 피해가기’(이의석 고대구로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 ‘근관 치료와 치성 상악동염:진단과 처치’(정일영 연세치대 치과보존과 교수), ‘리스크 관리 관점에서 본 바람직한 supracrestal complex’(김선재 연세치대 보철과 교수) 등 강연이 펼쳐진다. 오후에는 ‘상악동 골이식술의 결과와 관련 위험요소’(권용대 경희치대 구강악안면외과 교수), ‘아뿔사 치아 원인이 아니네- 비치성 통증의 원인 및 해결책’(장지희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구강내과 교수), ‘Risk management of asymmetrical occlusion by using TADs’(이주영 플러스원치과교정과치과의원 원장), ‘투명교정 치료 시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 및 해결방안’(지 혁 미소아름치과의원 원장) 등 강연이 있을 예정이다. 이번 학술강연회 사전 등록은 오는 11월 25일까지며, 수강자는 치협 보수교육 점수 4점(필수교육 1점)을 인정받을 수 있다. 모성서 학술대회장(여의도성모병원 교정과 교수)은 “위험 최소화, 성공적 치료 결과는 모든 치과의사의 목표일 것”이라며 “이번 자리는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 위험 상황을 예측하고 대비해 실패를 최소화하고 성공적 치료 결과를 얻기 위한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했다.
성장기 어린이를 위한 근기능 치료 원리와 훈련·치료 방법을 설명한 책이 나왔다. 대한나래출판사가 최근 ‘프리올소: 근기능 교정장치를 이용한 부정교합의 관리’ 도서를 출간했다. 이영규, 윤덕영 원장 외 1인을 저자로 한 이 책은 기존의 구강내 장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프리올소 근기능 교정장치가 도입된 이후 프리올소 장치 설명과 이를 응용한 근기능 교정치료에 대한 기존 자료에 미진함을 느껴 발간했다. 이 책은 기본적인 성장기 어린이를 위한 근기능 치료의 원리와 훈련 방법, 프리올소 근기능 교정장치의 특징과 이를 이용한 임상 증례를 살펴본다. 더불어 성인의 수면무호흡과 코골이를 개선할 수 있는 근기능 치료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프리올소 근기능 교정장치는 입술을 다물고 혀를 전상방에 위치시키는 훈련에 많은 도움을 주고, 구강 근기능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긍정적이다. 프리올소 근기능 교정장치는 악정형 교정장치에 비해 장치가 간단하고 착용 시간이 8~10시간 정도로 짧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정교합을 야기하는 환경적인 요인을 차단함으로써 정상적인 성장을 유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출판사 관계자는 “이 책이 근기능 교정치료에 관심 있는 독자 여러분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며 기대감을 밝혔다. ■저 자: 이영규, 윤덕영, Otsuka Atsushi ■감 수: 성재현 ■출 판: 대한나래출판사
영구치열 상악전돌 교정치료의 최신 임상 개념과 장치 특성을 담은 책이 나왔다. 대한나래출판사에서 최근 ‘임상교정 시리즈 16: 영구치열 상악전돌의 교정치료’ 도서를 발간해 눈길을 끈다. 한금동, 최 진 원장이 역자로 참여한 이 책은 Quintessence Publishing Co.에서 매년 출간하고 있는 ‘임상가를 위한 교정 시리즈’ 중 2016년도 판이다. 이번 특집의 주제는 ‘영구치열 상악전돌의 교정치료’로 총 3부로 나뉘며 상악전돌 치료의 최신 임상 개념과 장치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게 구성했다. 제1부는 10개의 스터디 그룹이 각기 영구치열 상악전돌 증례에 대한 접근법과 High pull J hook 헤드기어 등 기구를 이용한 치료 내용을 실었다. 제2부에서는 6개 관련 기업의 협력하에 회사별 제품의 특징과 그 제품을 사용한 임상 예를 소개한다. 3부에서는 장기 증례를 다뤘고, 해외 논문 편에서는 교정 처치로 인한 통증을 다룬 인도 저자들의 번역 논문을 실었다. 마지막 학회 초록 편은 저출산·고령화 교정치과 치료 전략을 다룬 일본 교정치과학회 학술대회 사후 초록을 수록했다. 그 외 해외 학회 리포트도 수록해 주제에 대한 폭넓은 시각과 접근법을 제시한다. 출판사 측은 “매년 특정 주제로 다양한 필자진을 모아 치료법, 치료도구, 임상 예를 다루기 때문에 보다 깊이 있게 해당 주제에 접근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라고 말했다. ■저 자: Eiichiro Asano 외 23명 ■역 자: 한금동, 최 진 ■출 판: 대한나래출판사
디지털 덴처의 방향성을 심층적으로 다루는 강연이 찾아온다. 신원덴탈이 이보클라 비바덴트와 손잡고 오는 12월 1일 신원덴탈 세미나룸에서 ‘2024 BPS USER DAY’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제는 실천! 디지털 덴처 – The Evolution of Digital Dentures!’를 대주제로 열리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6명의 연자가 나선다. 이훈재 원장(닥터훈치과의원)과 김경민 소장(아이디치과기공소)이 ‘Digital Denture 이제는 일상으로’를, 박지만 교수(서울대학교치과병원 보철과)와 강남길 기사(서울대치과병원 기공실)가 ‘Digital Denture: 효과적인 임상 활용법’을, 박중석 소장(덴처팩토리치과기공소)이 ‘Aesthetic is Harmony’를, 이시영 소장(투엘치과기공소)이 ‘5년동안 경험한 우리의 디지털 덴처이야기’를 주제로 강의한다. 디지털 치의학 시대가 오면서 디지털 덴처가 기존 방식의 덴처 제작법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에 맞춰 이번 세미나에서는 현재 디지털 덴처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하는 것은 물론 검증된 이보클라 BPS 디지털 덴처 시스템을 포함, 디지털 덴처의 방향성을 자세히 제시할 예정이다. 이훈재 원장은 “현재 틀니를 제작할 때 아날로그로 제작하고 있는 이들이 많다. 손으로 일일이 다 제작을 하는데, 이제는 이를 전부 다 컴퓨터로 작업해서 디지털화하는 것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다룬 세미나다.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넘어가는 과정에 있어서, 지금 디지털 덴처가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에 관한 임상을 공유하자는 데 취지를 뒀다”고 설명했다. 문의: 010-5846-3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