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덴스바이오가 KDX 2025에서 OCP(Octacalcium Phosphate) 골이식재 ‘Bontree+(본트리)’를 집중 홍보해 좋은 반응을 얻었다. 휴덴스바이오는 이번 전시에서 본트리의 특장점과 우수한 임상증례를 전시 참가자들에게 적극 홍보했다. OCP 골이식재는 동종골, 이종골이 가지는 교차감염의 위험을 극복하면서도 빠른 신생골 형성과 동종골 수준의 골재생능을 보여준다. 휴덴스바이오는 OCP 기반 골이식재 본트리를 세계 최초로 대량생산에 성공했다. 특히, 최근에는 본트리가 기존 합성골이식재 대비 빠른 골재생을 유도하는 효과를 입증한 논문을 SCI 저널 ‘Materials & Design(IF 7.6)’에 게재했다. 임상시험 결과 OCP가 이식된 부위의 신생골 형성률이 49.5%로 나타나 기존 골이식재 대비 월등한 골재생 효과를 입증했으며, 골 형성을 유도하는 유전자 CHI3L1, RGCC, GREM1 등의 발현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휴덴스바이오는 “본트리에 대한 개원가의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적극적인 홍보와 관련 교육을 통해 OCP 골이식재를 개원가에 더 알려갈 것”이라고 밝혔다.
티에네스가 교정 시뮬레이션을 환자가 내원 당일에 확인할 수 있는 혁신적인 시스템, 세라퀵(SERA Quick)을 최근 출시했다. 이 시스템은 교정치료 상담 시 기존의 치료계획 시뮬레이션 기간인 3일(영업일 기준)을 대폭 단축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존에는 치료계획을 확인하기 위해 환자가 다시 병원을 방문해야 했지만, SERA Quick은 환자의 내원 당일, 스캔 파일만 업로드하면 당일 안에 교정 치료계획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환자와 의료진 모두의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SERA Quick은 다양한 스캐너와 상관없이, 세라핀을 사용하는 모든 유저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돼 높은 활용도와 편리함을 자랑한다. 티에네스 관계자는 “유저들의 편의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항상 의견에 귀 기울이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소통과 개발을 통해 개선해 나가겠다. 이번 출시로, 교정 치료에 있어 더욱 효율적인 상담과 치료 계획 수립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덴토리가 KDX 2025에 참가해 ‘PLAZEN 3D RCT(이하 플라젠RCT)’를 적극 홍보했다. 플라젠RCT는 근관 내 마이크로 플라즈마를 방전시켜 근관 내 발수, 멸균, 지혈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비다. 기존 근관 내 유기조직을 NaOCL로 제거했다면, 플라젠RCT는 방전열에 의해 근관 내 유기조직을 수축시켜 발수한다. 근관 내 수분이 활성 Radical로 변하며 강력한 산화력으로 근관 튜브, 마이크로 캐널 등을 멸균한다. 플라젠RCT는 1회 내원 근관치료 컨셉으로 개원가에 어필하며 날로 유저층을 더해가고 있는 장비이다. 플라젠RCT를 활용할 경우 당일 발수, 근관충전이 가능하며, 단근치의 경우 10분 이내 근관충전까지 할 수 있다. 또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에도 탁월하다는 평가다. 덴토리 측은 “플라젠RCT는 석회화 근관이나 C형 캐널 등 복잡한 근관에도 활용할 수 있다. 개원가에도 제품이 많이 알려져 문의를 해오는 경우가 많다”며 “보다 다양한 루트를 통해 개원가에 플라젠RCT의 장점을 홍보하는데 더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푸르고바이오로직스(이하 푸르고)가 업계 최초로 인공지능(AI) 챗봇을 활용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제품 정보를 제공하는 혁신적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번에 개발한 AI 챗봇은 최신 기술을 적용해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도록 구축됐으며,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큰 강점이다. 챗봇의 학습 데이터에는 푸르고의 대표 제품인 이종골 이식재 ‘THE Graft’를 비롯해 LegoGraft, THE Cover, THE BCP, OpenTex, Biotex 등 전 제품의 세부 정보와 영업 활동에서 수집된 FAQ, 및 제품 별 SCI급 논문 자료, 임상 케이스 등이 포함돼 있어 전문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향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푸르고는 사내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한 내부용 AI 챗봇도 구축했다. 회사 내부 제규정 등 다양한 사내 정보를 학습해 직원들의 정보 접근성을 높여 업무 처리 속도를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푸르고는 이번 AI 챗봇 구축을 Stage 1으로 정의해 사내용으로 제한하고 있으나 향후 단계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향후에는 대외 고객을 위한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고, iOS 및 Android 기반의 모바일 앱 출시도 예정돼 있다. 또 음성 인식 기능 탑재와 온라인몰 연계 등으로 직접적인 매출 창출 모델 구현도 추진 중이다. 윤창배 푸르고 대표는 “업계 최초로 AI 챗봇을 구축함으로써 다방면에서 업무 효율성과 정보 전달력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와 고객 및 직원의 피드백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아침해의료기(ACH Medical)가 지난 3월 25일부터 29일까지 독일 쾰른에서 열린 ‘IDS 2025’에 참가해 자사 대표 임플란트 브랜드 ‘G·DIFF’를 중심으로 디지털 덴티스트리 트렌드에 부합하는 혁신 제품을 선보이며 유럽·중동·동남아 시장에서 주목받았다. ACH Medical은 한국관 대표 기업으로 참여해 실제 임상 환경을 반영한 제품 시연과 체험형 부스 운영을 통해 글로벌 바이어들의 적극적인 관심을 유도했다. Tapered 디자인과 11° Hex Connection을 적용한 G·DIFF 임플란트는 13년간 축적된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뛰어난 골피질 고정력과 지대주 결합력을 자랑하며, 현지 전문가들로부터 “시술 편의성과 안정성을 모두 갖춘 제품”이라는 호평을 받았다. 특히 S.L.A 표면처리 기술을 통해 거친 표면 구조를 형성해 조골세포 부착을 촉진하고 빠른 골융합을 이끌어냈다. 다양한 임상 환경에 대응하는 제품 라인업은 직경·길이·보철 옵션을 유연하게 조합할 수 있도록 설계돼 식립 위치별 골밀도 차이를 극복하고 장기적 안정성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3블레이드 커팅 엣지를 통해 뼈 손상을 최소화하며 정확한 식립이 가능하도록 했다. ACH Medical은 KOTRA 프리미엄 홍보관을 통해 디지털 솔루션과 임플란트 제품군을 집중 홍보하며 다국적 바이어 타겟팅에 나섰다. 이를 통해 유럽·중동·동남아 시장에서 신규 파트너십을 다수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전시 기간 중 유럽·중동·동남아 바이어들과의 집중 상담을 통해 수출 계약 확대를 이뤄냈으며, 향후 글로벌 시장 점유율 상승이 기대된다. 특히 러시아 시장에서도 G·DIFF 임플란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CIS 지역 진출도 가속화할 계획이다. ACH Medical 관계자는 “IDS 2025를 통해 13년간의 임상 데이터로 입증된 안정적인 제품력을 바탕으로 혁신 기술력과 제품 경쟁력을 세계 시장에 널리 알릴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러시아·중동 시장을 넘어 유럽 전역으로 판로 확장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IBS임플란트의 최소 침습 임플란트 ‘MagiCore’가 KDX 2025에서 전시 참가자들에게 높은 호응을 얻었다. 특히, IBS임플란트는 참가자들에게 충분한 핸즈온 실습 기회를 제공해 호평을 받았다. IBS임플란트의 장점은 절개를 줄이고, 빠른 회복이 가능하며, 술 후 안정성이 높다는 것이다. MagiCore, 2S 임플란트, Short 임플란트, 2S Narrow 임플란트, Immediate loading system 등을 선보였다. 이 외에도 더블가이드 시스템 ‘AMII GPS’도 큰 관심을 받았다. AMII GPS는 MagiCore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디지털 가이드 시스템으로, 최소화 한 드릴링 횟수로 편안하게 수술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Magic Guide Pin을 이용해 수술 중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위치와 방향을 수정할 수 있다. IBS임플란트 측은 “개원가에 최소 침습 임플란트의 개념과 장점을 더 효과적으로 홍보하기 위해 다양한 전시회 참가 및 관련 세미나를 계속해 제공하고 있다. 특히, Academy of Minimally Invasive Implantology(AMII) 임상교육원의 교육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밝혔다.
덴티스가 치과 산업 트렌드와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를 연다. 덴티스가 4월 21일 호텔인터불고 대구에서 창립 20주년을 기념하는 글로벌 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4월 18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되는 ‘창립 20주년 기념 행사’의 일환으로, 덴티스의 지난 20년을 돌아보고 새로운 도약을 위한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다. 이는 20주년 행사의 슬로건인 ‘Twenty For Tomorrow’를 주제로, 변화하는 치과 산업의 트렌드를 이해하고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번 포럼에는 세계 각국에서 초청된 글로벌 연자들이 참여해 총 10개의 세션에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치과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다양한 주제를 다룰 예정이다. 참석자들은 급변하는 치의학 분야의 흐름을 이해하고, 미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 자리에서는 덴티스의 글로벌 학술 조직 ‘GDIA(Global Dental Implant Academy)’ 시상식도 진행된다. 덴티스는 매년 GDIA의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고, 기본 자격 요건을 획득한 글로벌 치과의사들에게 ‘Fellowship’을 부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 세계 치과의사들과의 학술적 교류를 강화하고 있다. 한편, 덴티스의 20주년 기념 행사에는 전 세계 26개국에서 약 1,000여 명의 글로벌 고객이 참석할 예정이며, 글로벌 포럼 외에도 비전 선포식, 신공장 투어, 한국 주요 관광지 투어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마련돼 덴티스의 성장과 미래 비전을 함께 공유하는 뜻깊은 시간이 될 전망이다.
디오임플란트(이하 디오)가 선보인 프리미엄 친수성 인상재 ‘DIOSIL’이 출시 6개월 만에 개원가를 중심으로 빠르게 입소문을 타고 있다. DIOSIL은 유럽산 고품질 원재료를 기반으로 정밀한 인상 채득과 안정된 물성을 동시에 실현한 고기능성 제품이다. 특히 까다로운 국내 개원가의 니즈에 최적화된 제품 품질에 가격 경쟁력까지 갖추며, 실용성과 전문성을 모두 갖춘 ‘믿고 쓰는 인상재’로 평가받고 있다. Heavy Body는 우수한 탄성과 적절한 점도를 갖춰 구강 내에서의 인상체 탈착이 용이하며, 인상 정밀도를 유지하면서도 트레이 내 위치 안정성이 뛰어나 형태 유지력이 우수하다. 특히 주입 시 힘이 덜 들도록 설계돼 여성 위생사들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또 디오는 지난 1월 DIOSIL 전용 Digital Mixing Gun을 함께 선보이며 작업 효율성을 한층 더 끌어올렸다. 기존 수작업 믹싱의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덴처 케이스(Denture Case) 등 대용량 인상에도 빠르고 안정적인 토출이 가능해 현장의 긍정적인 반응이 잇따르고 있다. Light Body 역시 습윤한 구강 환경에서도 미세 부위까지 정교하게 흐름을 유지하며, 요변성(Thixotropy)을 통해 조작성과 컨트롤의 유연함을 제공한다. Bite 타입은 50초의 빠른 세팅 타임과 우수한 경도로 시술의 효율을 극대화하며, Putty 타입은 사용 중 오일 이염 없이 청결한 조작 환경을 제공해 작업 편의성을 높였다. 김 홍 디오 PM본부장은 “DIOSIL은 디오의 정밀 기술력과 고품질 원료를 바탕으로 우수한 제품력은 물론 합리적인 가격까지 갖추고 있어 실제 사용자들로부터 품질과 실용성 모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며 “앞으로도 임상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지속적인 제품 혁신을 통해 치과 의료진의 신뢰에 꾸준히 보답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DIOSIL은 전국 담당 영업사원 및 디오 공식몰(dio-mall.com)을 통해 구매할 수 있다.
푸르고바이오로직스(이하 푸르고)가 ‘치협 100주년 치과의료기기전시회(KDX 2025)’에서 프로모션이 완판되는 성과를 올렸다. 해당 전시회에 처음 참여한 푸르고는 신규 및 기존 고객들을 위한 특별 프로모션과 제품 전시, 핸즈온, 이색 이벤트 등으로 부스를 구성했는데 행사 기간 내내 많은 관람객들이 부스를 찾아 프로모션이 완판되는 큰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제품 전시 존에서는 푸르고 대표 이종골 이식재 ‘THE Graft’와 콜라겐 함유 이종골 이식재 ‘LegoGraft’ 등 골 이식재 제품군을 비롯해 비흡수성 봉합사 ‘Biotex’, 비흡수성 멤브레인 ‘OpenTex’를 비롯해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다. 핸즈온 존에서는 이같은 제품을 직접 다뤄볼 수 있어 만족도가 높았다. 부스에서 진행된 이색 이벤트도 이목을 끌었는데, 특히 치의신보TV와 협업해 제작된 콘텐츠인 ‘네고의 여왕’에 대한 문의가 끊이질 않았다. ‘네고의 여왕’은 인기 치과기자재를 치의신보TV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할인 중계하는 협상 콘텐츠로 푸르고는 1일 선착순 10명에게만 한정된 혜택을 제공했다. 행사 2일차에는 푸르고 직원들이 전시회 참가 업체 중 유일하게 퍼레이드를 진행했는데 인형탈을 착용하고 노래에 맞춰 간단한 율동으로 행사장을 순회하며 관람객들에게 또 하나의 신선한 볼거리를 제공했다. 이 외에도 SNS 친구 추가와 구매 고객 대상 럭키드로우 혜택, 추첨을 통해 GBR KIT 증정 등의 이벤트 뿐 아니라 KDX 스탬프 투어도 진행해 부스는 인산인해를 이뤘다. 윤창배 푸르고 대표는 “KDX 2025를 통해 전국에서 모인 치과의사들의 푸르고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처음 참가한 전시회에서 예상보다 많은 성과가 있었는데 다가올 5월 말 SIDEX 전시회에서도 우수한 제품 및 다양한 볼 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스피덴트가 ‘IDS 2025’에서 제품 임상 세미나와 제품 체험 등을 선보여 글로벌 치과 전문가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얻었다. 스피덴트는 지난 3월 25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된 IDS 2025에서 자사 부스 내 임상 세미나 및 핸즈온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운영했다. 이번 세미나는 신제품 3종(K-Bond Universal, EsFlow PLUS Injectable, EsCem RMGI)을 중심으로 구성돼 실제 임상 적용과 제품 조작성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제품력과 현장 호환성을 효과적으로 입증했다. 현장에서는 스피덴트의 주요 수복재 및 접착제를 중심으로 한 임상 강연과 핸즈온 프로그램이 연일 이어졌으며, 특히 국내 주요 치과대학 소속의 교수 4인이 연자로 참여해 학술적 깊이를 더했고, 총 144명 이상 참석하여 큰 호응을 얻었다. 우선 조경모 교수(강릉원주대치과대학)는 ‘EsFlow PLUS Injectable’과 ‘Post & Core’를 주제로, 다양한 점도 플로어블 레진의 임상 적용과 FRC-post 수복의 핵심 포인트를 핸즈온과 함께 전달했다. 또 이한나 교수(고려대구로병원)는 ‘EsCem RMGI cement’의 보철적 활용을 중심으로, 간접 수복물 접착 시 고려할 점과 임상 적용 사례를 공유하며 제품의 특성과 강점을 조명했다. 송제선 교수(연세대치과대학)는 ‘EsCem RMGI cement’를 소아치과 관점에서 분석해 소아 환자 대상 수복에서의 RMGI 시멘트의 임상 효율성과 장점을 소개했다. 아울러 신유석 교수(연세대치과대학)는 ‘K-Bond Universal’을 주제로, 범용 본딩재의 필요성과 함께 K-Bond의 임상적 장점을 설명하며 이제는 유니버셜 본딩이 필수라는 메시지를 전했다. # 직접 체험하는 핸즈온 세미나 연자 강연 이후 진행된 제품 시연 및 핸즈온 세션은 이번 부스 프로그램의 하이라이트로 꼽혔다. 참관객들은 스피덴트의 주요 신제품을 직접 조작해보며 실제 임상에서의 조작성과 적용법을 체험할 수 있었으며, 특히 EsFlow PLUS Injectable의 부드러운 주입성과 정밀한 적층성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스피덴트는 이번 IDS 2025 참가를 통해 기술력은 물론, 임상 기반 커뮤니케이션 능력에서도 경쟁력을 입증했다. 전시 기간 중 연자 강연, 제품 시연, 핸즈온 프로그램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며 단순한 전시를 넘어 현장형 마케팅과 학술 연계를 동시에 실현했다는 평가다.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스피덴트는 앞으로도 국내외 전시 및 학술행사에서 임상과 협업하는 브랜드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신제품 중심의 시장 확대 전략을 지속 전개할 계획이다. 스피덴트 관계자는 “제품의 성능을 단순히 설명하는 것을 넘어, 임상 환경에서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고 어떤 차별성이 있는지를 직접 경험하게 하는 것이 핵심이었다”며 “특히 EsFlow PLUS Injectable은 제품 론칭 전부터 큰 반응을 얻어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