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교정재료 전문 제조기업 오스템올소가 백운봉 원장(스마일위드치과교정과)과 공동 연구 개발을 통해 지난해 7월 출시 한 ‘Dr. Unbong's M-P TUBE’에 대한 해외 반응이 뜨겁다. 올해 5월에 이어 오스템 일본법인의 초청으로 개발자문의인 백운봉 원장이 지난 11월 9일에도 일본을 방문해 ‘Molar Protraction & 3rd Molar’를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했다. 백 원장은 이번 세미나에서 Dr. Unbong's M-P TUBE의 다양한 임상적 활용 사례를 소개했다. 구치 결손 공간 폐쇄, 잔여 발치 공간 패쇄, 전치열 근심 이동, 편측 구치 근심 이동 및 정중선 조절 등에서의 활용성 외에도 매복된 제3대구치(사랑니)의 protraction을 통해 출아 공간을 확보하고 치근의 평행이동을 돕는 데 있어 Dr Unbong‘s M-P Tube가 매우 유용한 도구임을 재차 강조했다. 백 원장의 구체적인 임상사례 소개와 핸즈온 실습을 통해 구치부 교정치료, 특히 사랑니 교정치료 과정에서 'Dr Unbong's M-P Tube'의 유용성을 깊이 공감할 수 있었다고 이날 세미나 참석자는 밝혔다. 오스템올소는 오스템 일본법인을 통해 Dr Unbong's M-P Tube를 지난 5월 제품 출시했으며, 주력 제품인 세라믹 자가결찰 브라켓인 ‘MAJESTY’와 더불어 내년 주력 제품으로 매출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한치과수면학회가 일본치과수면학회와 만나 수면의학에 관한 학술교류를 활발히 펼쳤다. 대한치과수면학회가 지난 3일부터 4일까지 일본 도쿠시마 대학에서 진행된 ‘제23차 일본치과수면학회 학술대회’에 참가, 한일 치과 수면의학을 교류했다. 학회는 이번 학술대회에서 치과 수면의학 분야에서의 최신 치료와 스크리닝 기술을 공유하고, 일본 학회 측과의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아울러 이번 학술대회 한일 공동 강연 세션에서는 최진영 전 대한치과수면학회 회장과 차정열 연구이사가 초청 연자로 참여, 치과에서 수면 질환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할 수 있는 스크리닝 방법에 대해 강연했다. 이날 두 교수는 특히 의과와의 협진을 통해 치과가 수면 질환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강의했다. 또 오드리윤 국제이사는 소아 환자에서의 수면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턱 교정 전략을 소개해 참가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대한치과수면학회와 일본치과수면학회는 지난 2009년 이후 지속적으로 학술교류를 하고 있다. 지난해 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는 일본 도쿠시마 대학의 Tomonori Iwasaki 교수가 방한해 강연을 진행한 바 있으며, 올해 한국 연자들이 초청받아 양국의 수면의학 전문가들이 최신 지식과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학회 관계자는 “양국의 지속적인 학술 교류를 통해 치과의사가 수면장애 치료와 관리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수면 질환 환자들에게 성공적이고 장기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호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심미치료 대가들이 걷는 올바른 길을 엿볼 수 있는 특별한 자리가 마련된다. 대한심미치과학회 부울경지부(이하 지부)는 오는 12월 14일 부산치과의사신협 본점에서 2024년 추계 학술집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집담회는 ‘심미치료, 대가에게 그 길을 묻다’를 대주제로 삼은 만큼, 저명 연자의 통찰력 있는 임상 지견을 접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지부는 아날로그와 디지털이라는 신구 트렌드를 모두 아우르는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연에는 총 3명의 연자가 나선다. 조경안 원장(경기도 현대하이치과의원)은 ‘전장관을 이용한 수복치료 30여 년의 Clinical Diary’를 연제로 30년 노하우를 집대성한 강연을 펼칠 예정이다. 이어 배정인 원장(서울강남치과의원)은 ‘앞니 임플란트 치료를 위한 디지털적 방법’, 박종욱 원장(드림치과의원)은 ‘최소삭제 라미네이트 치료의 실제’를 연제로 국내 최고 수준의 전문성과 경험을 느낄 수 있는 강연을 선사한다는 계획이다. 지부는 “이번 학술집담회에는 심미 보철 분야의 양대 축인 크라운과 라미네이트에서 최고 전문성과 경험을 갖춘 분들을 모셨으며, 그분들의 의견을 들을 수 있는 인생의 몇 안 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아날로그 수복의 최고 수준 강의뿐 아니라 최근 수복의 주된 흐름인 디지털 분야에서도 최고 연자의 지견을 들을 수 있는 멋진 기회를 전하겠다”고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학술집담회 사전등록은 12월 7일까지며, 현장 등록도 받는다. 회원과 비회원 모두 참가할 수 있다. 참가자에게는 치협 보수교육점수 2점이 부여된다. 아울러 이날 자리에서는 플라즈마 임플란트 표면처리기, 접착 및 합착 재료 등 풍성한 경품 추첨 행사도 진행된다.
덴티스 통합 플랫폼 OF가 ‘ALL IN ONE Hands-on Seminar’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번 세미나는 지난 10월 5일부터 11월 9일까지 약 한 달간 7회에 걸쳐 진행됐으며, 김재윤 원장(연수서울치과의원)과 나기원 원장(예스미르치과의원)이 연자로 참여했다. 세미나는 수술 파트와 보철 파트로 나눠 진행됐으며, 각각의 파트에서 심도있는 이론과 실습이 병행됐다. 우선 1, 2, 5, 6회차는 임플란트 수술의 기초부터 중급 단계까지 다룬 수술 파트로, 김재운 원장이 강연을 주도했다. 아울러 3, 4회차는 보철 파트로 나기원 원장이 인상 채득, 바이트 채득, 상부 구조 디자인 등 기본적인 임상 과정을 다뤘다. 이에 참가자들은 사진과 영상을 통해 빠르게 이해하고 실습을 통해 실전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임상 팁을 배웠다. 특히 11월 9일 진행된 라이브서저리는 이번 세미나의 하이라이트로, 그동안 학습한 내용을 실제 수술 상황에서 직접 구현하며 교육을 총정리했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이론과 실습을 결합한 학습 효과를 극대화했다. 'ALL IN ONE Hands-on Seminar'는 소수정예 맞춤형 교육을 통해 실제 임상에서 요구되는 고도의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구성을 바탕으로 OF의 대표적인 세미나 코스로 자리 잡았다. 체계적인 커리큘럼과 실습 중심의 학습을 통해 높은 만족도를 이끌어내며 매회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OF는 12월에도 다양한 세미나를 예정하고 있다. 12월 7일부터 8일까지는 'PROSTHESIS Seminar_풀마우스 세미나'와 12월 7일 'OF STAFF SEMINAR_Trend management 외과·치주·임플란트 세미나'가 진행되며, 14일부터 15일까지는 'PROSTHESIS Seminar_부분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치료계획 세미나'도 열릴 예정이다. 세미나 신청은 OF 공식 홈페이지 내 세미나 카테고리를 통해 할 수 있다.
대한설측교정치과의사회(아하 KALO)가 주최한 하이브리드 형식 연수회에 임상가들의 관심이 쏠렸다. KALO는 최근 ‘제17회 2024 설측교정연수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해당 세미나는 지난 10월 힌 달간 주말마다 이어진 온라인 강의와 11월 1박 2일로 진행된 타이포돈트 실습이 결합된 방식으로 진행됐다. 온라인 실시간 강의는 이기준 교수(연세대학교 치과병원 치과교정과)의 설측교정총론으로 시작해 류세홍 원장(가지런e류치과교정과치과), 윤형식 원장(서울올바른치과교정과치과), 김윤지 교수(아산병원 치과교정과), 이장열 원장(스마일어게인치과교정과), 박선규 원장(프라임S치과교정과치과병원), 허정민 원장(허정민치과교정과치과), 배기선 회장(선부부치과교정과치과) 등 총 8명의 임원진이 참여했다. 실습을 위한 현장 강의는 조재희 원장(서울탑치과병원), 여병영 원장(가바치과교정과치과), 이유선 교수(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치과교정과), 김아미 원장(서울아미치과교정과치과), 박선규 원장(프라임S치과교정과치과병원), 김석곤 원장(더라인치과교정과치과) 등 총 6명의 임원진이 진행했다. 특히 실습 기간 설측교정에 숙련된 KALO 임원진들이 대거 참석해 세심하게 참가자들의 실습 진행을 도와 의미를 더했으며 실습에 참여한 이들 역시 늦은 시간까지 작업을 진행하는 등 높은 참여도를 자랑했다. 수강생들은 “온라인 강의가 주말 저녁 시간대에 진행돼 집에서 여유 있게 강의를 수강할 수 있었고, 이론적인 배경에 대한 학습이 된 상태에서 실습이 1박 2일간 진행돼 과정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으며 실습 진행에 연속성이 있어 훨씬 집중하기 좋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아울러 연수회 실습 기간 정회원 인준 심사도 함께 진행됐다. 이를 통해 박경호 원장(미소그리다 치과교정과치과)이 정회원 자격을 획득했다. KALO 정회원 인준을 받기 위해서는 설측 장치로 치료한 완성도 높은 세 개의 증례를 제출해야 하며, KALO 심사를 통과한 증례는 세계설측학회인 WSLO 정회원 인준을 위한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심사에 대한 문의는 kalomember@gmail.com으로 하면 된다. KALO 관계자는 “앞으로 매년 새로운 형식으로 이어질 연수회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설문조사 답변을 받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참가자들이 더 효율적으로 설측교정을 익힐 수 있도록 세세하게 다듬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티에네스가 ‘세라핀(SERAFIN)’을 포함한 디지털 교정 솔루션을 베트남 임상가들에게 소개해 많은 호응을 얻었다. 티에네스 주최 ‘SERAFIN – The Enhanced’ 치아 교정 워크숍이 지난 13일 Pullman Saigon Centre 호텔에서 개최, 성황리에 종료됐다. 이번 워크샵은 세라핀의 공식 딜러사인 Samsun Vina가 주최했으며, 활기찬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이번 행사는 디지털 교정 솔루션에 대한 최신 정보와 실제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로, 3명의 연자들이 참여했다. 장원건 원장(마일스톤즈치과의원), 박철완 원장(보스턴완치과의원), 정우선 원장(정우선치과교정과치과의원)은 각자의 분야에서 쌓아온 깊은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참가자들에게 디지털 교정 솔루션에 대한 최신 트렌드를 소개하고, 임상 치료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유익한 정보를 아낌없이 나눴다. 이는 특히 디지털 교정 기술의 최신 동향을 접하고, 이를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소개해 다수 호응을 얻었다. Samsun Vina 관계자는 “이번 워크샵으로 원장들의 치료 수준을 한층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환자들에게 최고의 치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며 “향후 더 많은 학술적 교류의 장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네오바이오텍(이하 네오)이 인도와 태국 현지에서 임상 노하우를 전수해 이목을 끌었다. 네오는 지난 8일과 10일 인도에서, 11일 태국에서 글로벌 세미나를 개최하고 현지 임상가들에게 네오의 기술력을 바탕으로한 임플란트 임상 노하우를 선보여 큰 관심을 받았다. 먼저 인도 델리와 뭄바이에서 열린 ‘Re-Launch’ 세미나에서는 허영구 원장(닥터허치과)을 비롯한 국내외 유명 연자 7명이 ‘Journey to Perfection - Pioneering the Future of Zero-Failure Implant’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300여 명이 넘는 치과의사들이 참석해 뜨거운 반응을 보였으며, 네오만의 독보적인 콘셉트인 ‘AnyTime Loading’을 중심으로 성공률 100%에 도전하는 최적의 임플란트 식립 및 보철 방법을 소개해 주목을 받았다. 또 ‘AnyTime Loading’을 실현하기 위한 ‘CMI Fixation’이 적용된 ‘IS-III’와 픽스쳐, 스크류, 어버트먼트까지 제거할 수 있는 토탈 리페어 솔루션 ‘All-in-One Remover Kit’ 등 네오의 다양한 혁신 제품을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이어 11일 태국 Pattaya에서 열린 ‘Neobiotech International Seminar’는 ▲Ridge Splitting ▲발치 후 즉시 식립 ▲Guided Surgery ▲Sinus Lift를 주제로 오전과 오후 세션으로 진행됐으며, 리투아니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체코, 폴란드 등에서 100여 명이 넘는 치과의사들이 참가했다. 특히 서지컬 키트 Neo Master Kit, Pre-tapping 없이 빠르고 안전하게 수술이 가능한 EZ Stop Drill Kit, AnyCheck, i700 등 다양한 혁신 제품들이 전시돼 참가자들이 네오의 뛰어난 기술력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아울러 네오는 올해 상반기부터 독일, 이탈리아, 중국, 체코, 우즈베키스탄, 미얀마 등 유럽 및 아시아 국가에서 네오의 독보적인 콘셉트인 AnyTime Loading과 CMI Fixation을 주제로 현지 세미나를 진행해 오고 있으며, 현지 치과의사들의 큰 관심과 호응을 얻고 있다. 오는 12월에는 칠레와 요르단에서도 세미나가 이어질 예정이다. 네오 관계자는 “이번 인도와 태국에서 열린 세미나를 통해 네오 제품들에 대한 해외 유저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도 해외 유저들에게 네오의 혁신 제품과 우수성을 알릴 수 있는 자리를 지속적으로 마련해 글로벌 시장에서 네오의 우수성을 적극적으로 알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보의들이 한자리에 모여 보철과 임플란트 임상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듣고 함께 고찰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대한공중보건치과의사협의회(이하 대공치협)가 주최한 제17회 공중보건치과의사 학술보수교육이 지난 15일 코엑스 컨퍼런스룸 318호에서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이번 학술보수교육은 전국 각지에서 활동하는 공보의들에게 학술·임상적으로 도움을 주고자 진행됐으며, 치협과 공동 주최로 보수교육 점수도 부여됐다. 강의에서는 백장현 교수(경희대학교치과병원)가 연자로 나서 ‘심미와 기능, 그리고 완벽한 보철물’을 주제로 심미 보철 영역에서 꼭 알아야 할 것들에 대해 살펴보고, 기능적인 고려 사항에 대해 설명했다. 백 교수는 체어 타임과 내원 횟수, 임상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서도 공보의들과 함께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 오후 강연에서는 창동욱 원장(원치과의원)이 ‘치주 바탕 임플란트’를 주제로 임플란트 치료를 환자에게 잘 시행하기 위해 알아야 할 내용과 치료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반드시 이해해햐 하는 치주와 관련한 고려사항을 임상 증례를 통해 소개했다. 양성훈 대공치협 회장은 “이번 학술보수교육에 많은 공보의들이 참여해 줘서 영광이다. 이런 관심이 연자 섭외 등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된다”며 “공보의 생활 이후에도 최선의 진료를 이어나가는 데 큰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임플란트의 전반적인 특징을 돌아보고 이를 통해 치과 스탭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이하 KAOMI)는 지난 3일 오스템임플란트 마곡 임플란트연구소에서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키포인트 연수회를 개최했다. 총 6명의 연자 및 faculty를 구성, 임플란트에 관한 키포인트 이론을 강의한 이번 연수회에서는 ‘실전 중심의 원데이 임플란트 코스’라는 목표 아래 원내 치과위생사들이 그동안 단편적으로 배운 임플란트 관련 지식을 정리하고 나아가 실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위주의 실습을 병행해 만족도를 높였다. 구체적으로 ▲임플란트 치료에서 수술과 보철의 전반적인 개요 ▲임플란트 부속품의 특징과 실제 사용의 예 ▲인상재를 이용한 인상채득과 디지털 구강스캔 실습 ▲수술 기구의 준비부터 사용법 ▲소독 ▲보관법까지의 단계별 요소 ▲효과적인 수술 어시스트 ▲임상사진 촬영실습 등이 소개됐다. 수료생 A 씨는 “병원마다 사용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이 다르고 준비부터 사용법까지 다름에도 어깨너머로 배워야 해서 막막했는데, 학회 차원에서 기본적인 임플란트에 대한 지식을 정리해주고 실제와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실습도 할 수 있어서 뜻깊은 자리였다”고 전했다. 황재홍 KAOMI 회장은 “대부분 학회에서는 치과의사 대상의 강의 편성이 주를 이루나, 상대적으로 병원 직원 대상의 강의는 소수이거나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며 “실제 치과의사들이 임플란트 술식을 하는데 있어 직원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하다. KAOMI는 정식으로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한 유의미한 임플란트 연수회를 개최해 지속적인 교육 환경 제공을 위해 힘쓰고자 한다”고 밝혔다.
대한턱관절교합학회 제44회 종합학술대회가 오는 12월 7~8일 서울아산병원 동관 6층 대강당, 소강당 및 전시실에서 진행된다. 대한턱관절교합학회는 지난 4일 서울역 인근 모처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종합학술대회 주제 및 강연에 관해 브리핑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개원의를 위한 교합붕괴 환자 치료 전략’을 대주제로 열린다. 이날 마모 치열의 병인 및 치료 전략, 교합고경 유지와 증가에 관해 다룬다. 또 턱관절치료 최신 동향과 치과 경영과 관련해 최근 각광받고 있는 턱관절 시술은 무엇인지, 치의학 관련 유전질환과 정밀의학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자세히 살펴본다. 우선 7일 첫날에는 김성택 회장이 ‘TMD진단 로직트리 프로그램(TMD wise)을 이용한 턱관절질환의 진단’을, 박형욱 원장(연세이도치과의원)이 ‘자동 주사기를 이용한 미용치료’를 주제로 강의한다. 또 이재훈 교수(연세치대)가 ‘치과에 적용되는 정밀의학’을, 김형섭 교수(일산보험공단병원)이 ‘연하장애 환자의 재활 치료’를, 이화정 교수(용인세브란스병원)이 ‘연하장애 환자의 보철 치료’를, 홍성진 교수(경희치대)가 ‘베넷각의 임상적 적용’을, 료타 타카오카(오사카대학)가 ‘Interdisciplinary approach for the patients with Acquired open bite’를 주제로 강의한다. 8일 둘째 날에는 ▲교합과 보철적 관점에서의 치료전 ▲재료적 관점에서의 치료 전략 ▲브라켓 부분교정과 레진, 보철 수복치료 ▲임플란트 수복 수직공간 확보를 위한 부분교정치료 ▲투명교정장치를 이용한 부분교정과 임플란트 수복치료 강연이 이어진다. 이 밖에도 학술대회에서는 전공의 임상증례 및 대학원생‧연구원 연구 발표가 진행되며, 인공지능 기반 자동화된 치아 형성 평가 프로세스 개발과 교합장애와 턱관절질환, 그리고 전신질환의 관련성에 대한 포괄적 문헌탐색연구에 관한 연구과제 발표가 이뤄질 예정이다. 또 ‘교합고경 증가! 한다 VS 안한다, 한다면 얼마나 하나?’를 주제로 임상증례별 실전 100분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 4시간 이상 강의 참여 시 치협 보수교육 4점이 주어진다. 김성택 회장은 “이번 학술대회에서 회원들에게 공개할 TMD wise 앱은 턱관절 및 저작근질환 진단 교육용 프로그램으로 컴퓨터 웹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했다”며 “지난 2018년부터 앱 개발을 시작해 내년쯤 식약처 허가를 받을 계획이다. 학회 등록비를 완납한 회원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