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티움 아카데미 터키가 지난 8월 16일 터키 아다나(Adana)에서 현지 파트너 두락덴탈(Durak Dental)과 함께 ‘Immediate Implant Surgery and Immediate Loading: Current Approaches and Digital Workflow’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터키에서 열린 덴티움 최초의 라이브 서저리 세션으로 큰 관심을 모았다. 이번 세미나는 Immediate Implant Placement, Immediate Loading, Digital Workflow를 주제로 임상 술식 팁 공유와 임상 시연을 결합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이론 강연 ▲핸즈온 트레이닝 ▲라이브 서저리의 세 단계로 구성됐다. Prof. Dr. Ufuk Tatlı는 즉시 식립 및 즉시 부하의 최신 술식을 다뤘으며, Dr. Ali Mutlu Demiroğlu는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통한 임상 적용을 소개했다. 또 Dr. İlyas Kurt는 즉시 로딩 관련 임상 경험과 프로토콜을 공유해 참가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 라이브 서저리 세션에서는 덴티움의 대표 임플란트 ‘SuperLine 2’를 활용해 Immediate Implantation, Immediate Loading이 현장에서 실연됐다. SuperLine 2는 임플란트 설계 디자인과 표면 처리 기술 덕분에 발치 직후 잔존 골에 안정적으로 식립 가능하고, 초기 고정력이 뛰어나 Immediate Loading에도 적합하다. 이어 디지털 솔루션은 ‘Shining 3D의 구강스캐너’를 이용해 디지털 인상 채득 과정을 시연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철 디자인을 진행해 2시간 만에 임시 치아를 전달하는 Immediate Loading 케이스를 완성했다. 이 같은 실시간 교육 형식은 현장감과 학습 효과를 동시에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덴티움 관계자는 “아다나와 속한 츄쿠로바(Çukurova) 지역은 덴티움이 터키에 처음 진출한 상징적인 장소로, 이번 세미나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며 “터키 치과의사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제품과 학술적 지원을 지속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덴티움 아카데미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라이브 서저리 포맷 확대 ▲지역별 세미나 강화 ▲터키치과의사협회(TDB Academy)와의 학술 협력 ▲KOL(Key Opinion Leader) 교류 확대 ▲SNS 콘텐츠 활용 등 후속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디오임플란트(이하 디오)가 디지털 기반 임플란트 치료 전략을 공유하며 호주 임상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지난 8월 23일부터 24일까지 호주 시드니 Sheraton Hyde Park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 이번 ‘2025 DIO AU Symposium’은 디지털 기반 임플란트 치료 전략과 최신 보철 접근법을 주제로 진행됐다. 특히 세계 각국에서 활동하는 글로벌 임상 전문가 12명이 대거 참석해 실전 중심의 강연을 펼쳤으며 현지 임상가 200여 명이 참가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첫날 행사는 DeSR 어버트먼트를 활용한 시멘트리스 보철의 미래 전망을 제시하며 시작됐다. 이 외에도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스캐폴드를 활용한 수직 골재생 기술, 임플란트 주위 조직 재건술, 풀아치 보철 역설계 접근법 등 최신 임상 전략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둘째 날에는 디지털 덴티스트리에서의 AI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풀아치 치료에서의 연조직·경조직 통합 관리법, 기도 협착과 두개골 변형, 부정교합 간의 상호 연관성을 조명했으며, 마지막으로 즉시 식립 보철 시 외부 장벽 기법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창재 디오 호주법인 법인장은 “임상 현장 중심의 수준 높은 강연을 통해 디지털 임플란트 치료의 현주소와 미래 전략을 한자리에서 조망할 수 있었던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며 “이번 심포지엄의 성공을 발판 삼아 호주 및 글로벌 시장에서 디오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다짐했다.
덴티움이 지난 8월 24일, 덴티움 지식산업센터에서 ‘Digital Insight 세미나’를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세미나는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치의학의 흐름 속에서 임상과 기공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CT, IOS, 보철, 기공, 가이드 제작까지 아우르는 통합 디지털 솔루션을 제시했다. 세미나에서는 정성민 원장(덴티움치과)이 bright Implant 기반의 Digital Minimalism 개념을 소개하며 디지털 진료의 핵심을 세 가지 키워드로 정리했다. 첫째, Teeth Oriented 관점에서는 최신 알고리즘을 탑재한 구강스캐너가 Bite Tray 인상채득과 동등한 수준의 정확도를 제공하며, 고가의 장비 없이도 B.T.S(Bite Tray Impression) 프로세스를 통해 교합 조정 없이 정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강조했다. 둘째, Facial Driven 관점에서는 Facial Scanner와 Facial Photo, CT 연조직 파일을 활용한 진단과 보철 제작 과정을 소개했다. 끝으로 CT Centered 관점에서 bright CT를 활용 AI기반의 정밀 진단과 예측 가능한 술식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특히 bright Implant와의 시너지, 그리고 Digital Abutment를 이용한 모델리스 제작 과정을 통해 복잡한 케이스에서도 높은 정확도와 편의성을 전달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또 이훈재 원장(닥터훈치과)은 덴티움의 Shine T Block과 bright 3 Layer block을 활용한 당일 보철 임상을 통해 심미성과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보철 솔루션을 제시했으며, 임상가들이 바로 실천할 수 있는 크라운 프렙 과정의 실용적인 팁을 함께 전달했다. 원현두 원장(잠실이사랑치과)은 모델 제작 단계를 생략한 Simple Concept을 소개하며, ‘인상채득–모델제작–보철제작’의 전통적인 과정 대신 스캐너 기반 ‘데이터 획득–디자인–제작’으로 이어지는 효율적인 디지털 워크플로우의 장점을 강조했다. 임상가뿐 아니라 치과기공사와 밀링센터 시각의 발표도 참석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윤대영 치과기공사(덴티움치과)는 Dentium 3D Viewer의 AI Occlusal Plane 기능을 활용해 AI가 제시한 교합평면과 정중선을 활용한 무치악 및 전치부 보철 디자인 방법과 함께, bright Implant에 최적화된 Digital Abutment 및 Ti-Base의 임상 활용 노하우를 공유했다. 이어 김재경 치과기공사(덴티움 밀링센터)는 CT와 IOS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Dentium Digital Guide의 ‘설계–출력–적용’ 전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며, 9월 29일부터 적용 가능한 CT Viewer 연동 기능까지 공개했다. 이번 세미나는 One Scan, Total Plan이라는 컨셉처럼 진단에서 수술, 보철까지 이어지는 통합 디지털 솔루션의 가치를 보여줬다. 참가자들은 bright Implant 보철 디자인 핵심, 구강스캐너와 bright CT의 연계 활용 팁, Dentium Digital Guide 제작 사례 등 실제 진료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얻었다는 평가를 남겼다.
다년간의 턱관절 프롤로테라피 임상 노하우가 담긴 실습 강연이 성공적으로 끝났다. 프롤로턱관절연구회 주최 ‘저자를 통해 배우는 턱관절 프롤로테라피 Master Course’ 세미나가 지난 8월 24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진행됐다. 이날 ‘임상 턱관절 프롤로테라피(2024)’ 저자들이 직접 강의와 실습 지도를 맡아, 책으로만 접하던 이론을 현장에서 체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참가자들의 많은 호응을 얻었다. 이번 코스는 하루 동안 이론과 실습을 모두 압축한 원데이 집중 과정으로 진행됐다. 오전 이론 강의에서는 연자들의 풍부한 임상 경험이 녹아든 강연이 이어졌고, 오후 실습 세션에서는 참가자들이 직접 시술을 몸소 체험했다. 이날 공승원 원장(굿모닝치과)은 ‘턱관절통증, 프롤로테라피로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를 주제로, 다년간의 시술 노하우를 환자와 술자의 시각에서 알기 쉽게 풀어냈다. 또 윤현옥 원장(우리치과)은 15년 넘게 축적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포도당 프롤로와 PDRN 프롤로의 장단점을 비교하며 실제 증례를 통해 통증부터 교합, 저작 기능의 변화까지 보여줌으로써 진단과 치료 방향성을 제시했다. 아울러 조용일 원장(웰컴치과)은 초음파 유도하 주사법과 CBCT 활용을 중심으로, 정확한 진단과 술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치과 임상에 접목 가능한 초음파 활용법을 전달했다. 특히 오후에 진행된 실습 세션은 1:1 맞춤형으로 진행됐다. 이날 모든 참가자들이 직접 시술, 직접 체험을 원했고, 이에 따라 참가자 전체가 서로 상호 실습으로 술기를 몸으로 익혔다. 이번 마스터 코스는 짧은 일정에도 불구하고, 임상가들이 턱관절 치료에 프롤로테라피를 자신 있게 접목할 수 있도록 돕는 실질적인 교육 과정으로 평가됐다. 특히 강의장을 가득 채운 현장감 있는 학습 열기는 이번 코스를 더욱 특별하게 만들었다는 후문이다. 주최 측은 “참가자들이 실제 임상에 바로 활용 가능한 교육을 경험하며 만족도가 매우 높아 향후 추가 세미나를 준비하고 있으며, 현재 사전 접수를 받고 있다”며 “아직 정확한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지만, 조만간 날짜를 공지할 예정이니 관심 있는 임상가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치과 종합포털 덴올의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수요세미나’가 대한치과재료학회와 함께 강연을 마련한다. 덴올 수요세미나에 따르면 오는 9월부터 '대한치과재료학회와 함께 하는 치과재료 및 기기, 메카노바이올로지'를 대주제로 대한치과재료학회의 강연을 진행한다. 총 11명의 학회 회원들이 연자로 직접 나서 실제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내용을 중점으로 풀어낼 예정이다. 세부 일정을 살펴보면 9월 3일 권재성 교수(연세치대 치과생체재료공학교실)의 ‘치과에서의 생체활성 치과재료 개발 동향’ 강의를 시작으로 ▲장성욱 원장(자하연치과) ▲정신혜 교수(서울대 치의학대학원 치과생체재료과학교실) ▲이정환 교수(단국대 조직재생공학연구원) ▲문원준 교수(서울대 치의학대학원 치과생체재료과학교실) ▲홍민호 교수(국립강릉원주치대 치과생체재료학교실) ▲배태성 교수(전북치대 치과생체재료학교실) ▲이해형 교수(단국치대 생체재료학교실) ▲안진수 교수(서울대 치의학대학원 치과생체재료과학교실) ▲강경화 원장(쉼부부치과) ▲서우경 대표(AMCO lnc)가 10월 29일까지 연이어 강단에 오른다. 이 중 9월 10일 정신혜 교수의 ‘재료학적 관점에서 본 도재 접착 술식’과 이정환 교수의 ‘메카노바이올리지의 치의학 적용’, 10월 15일 배태성 교수의 ‘세라믹 수복물의 파절 억제를 위한 고려 사항’ 등은 실제 임상에서 활용도가 높아 일찍부터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대한치과재료학회와 함께하는 수요세미나는 9월 3일부터 매주 수요일 오후 8시에 라이브스트리밍으로 진행해 연자와 실시간 채팅을 통해 소통할 수 있다. 채팅에 참여하면 추첨을 통해 스타벅스 커피 쿠폰도 받아볼 수 있다. 실시간 방송을 놓쳤다면 수요세미나 다시보기(https://www.denall.com/program?id=29)를 통해 언제든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현재까지 총 14개의 학회(대한근관치료학회, 대한인공치아골유착학회, 대한스포츠치의학회,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대한노년치의학회, 대한심미치과학회, 대한턱관절교합학회, 대한치과이식임플란트학회, 대한디지털치의학회,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대한치과수면학회,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대한치주과학회, 대한치과보철학회)와 협업을 통해 치의학 저변 확대에 일조한 수요세미나는 올해 18주년을 맞아 보다 풍성한 콘텐츠로 임상가들과 만날 계획이다. 배지명 대한치과재료학회 회장은 “치과용 세라믹, MTA, 접착제, 3D 프린팅과 CAD/CAM 및 NiTi 파일 등 임상 적용에 대한 유익한 내용들을 다루고자 대표 연자 11명이 최선을 다해 준비했다”고 참여 포부를 밝혔다. 덴올 수요세미나 관계자는 “치과 의료진에게 양질의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다양한 학회와의 협력을 통해 치과 의료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며 “향후에도 치과 의료계의 지식 공유와 소통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덴티스 플랫폼 OF가 신제품 임플란트 ‘AXEL(액셀)’을 활용한 첫 번째 공식 세미나를 개최해 눈길을 끈다. 덴티스 OF ‘IMPLANT LEVEL UP COURSE’ 세미나가 지난 8월 23일 덴티스 서울 문정캠퍼스에서 열렸다. 이번 세미나는 11월까지 총 10회에 걸쳐 진행되며, AXEL 출시 이후 처음으로 진행되는 공식 세미나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AXEL 개발에 직접 참여한 조용석 원장(조용석김세웅치과)이 직접 연자로 나서 신제품의 설계 의도와 임상적 장점을 생생하게 전했다. 이날 참가자들은 강의와 함께 준비된 AXEL 핸즈온 실습을 통해 직접 신제품을 체험하며, 시술 과정에서의 차별화된 안정성과 편의성을 경험했다. ‘IMPLANT LEVEL UP COURSE’는 ‘임플란트 임상의 완성도를 높이는 레벨 업 코스’를 슬로건으로, 임플란트 초·중급 임상가들이 상위 수준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획된 세미나다. 과정은 수술 파트와 보철 파트로 구성돼 골 평가와 수술, 골증강술과 연조직 관리, 보철물 디자인과 유지 관리 등 임플란트 임상의 핵심 주제를 폭넓게 다룬다. 20년간 축적된 덴티스의 기술력과 임상 노하우를 집약해 탄생한 신제품 임플란트 ‘AXEL’은 발치후 즉시 식립에 최적화된 설계와 높은 임상 유용성을 갖춘 차세대 제품이다. 탁월한 초기 고정력과 장기 안정성은 물론, 심미성과 시술 편의성까지 두루 강화해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결과를 제공한다. AXEL은 골 손실을 최소화하는 ‘Stress-Free Neck’, 빠른 골유착을 유도하는 ‘Dynamic Bone Chip Groove’, 강력한 초기 고정력을 구현하는 ‘Drive Thread™’ 등 차별화된 기술이 집약돼 있다. 또한 0.4mm 간격의 세분화된 직경 라인업과 다양한 길이 옵션을 갖춰, 케이스별 맞춤 적용이 가능하다. 한 참가자는 “신제품을 단순히 소개받는 것이 아니라 핸즈온을 통해 직접 경험해 보니 임상 적용에 대한 확신이 생겼다”고 소감을 전했다.
네오바이오텍(이하 네오)이 북남미 치과계에 차세대 즉시로딩 임플란트 기술력을 선보이며 입지를 다졌다. 네오는 지난 8월 15~16일 도미니카공화국 푼타카나에서 북남미 치과의사 200여 명을 대상으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특히 이번 세미나에서는 차세대 즉시로딩 임플란트 ‘ALX’와 다양한 제품들을 선보이며 큰 호응을 얻었다. ‘Zero Failure Concept: Immediate, Early, Anytime All on X Loading’을 주제로 개최된 이번 세미나에서는 허영구 네오 회장을 비롯한 해외 연자 8명이 참여해 강연을 진행했다. 먼저 첫날 오전 세션에서는 Dr. Manuel Feregrino가 ‘CMI Fixation and AnyTime Loading Concept’을 주제로 Stability Dip을 방지하기 위한 골 손상 최소화 전략과 BIC 극대화 방안에 대해 발표했으며, Dr. Ryan Lee가 ‘Application in Cancer Patients’를 주제로 구강암 환자의 임플란트 치료 사례와 임상 노하우를 전달했다. 이어 오후 세션에서는 디지털 기술과 최신 로딩 전략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강연이 진행됐다. 먼저 Dr. Luis De Bellis는 ‘Prosthetically-Driven Digital Dentistry’를 주제로 보철 중심의 디지털 치료 접근법과 함께 ALX의 우수한 성능과 다양한 임상 적용 전략에 대해 소개했으며 Dr. Scott Ganz는 ‘The State-of-the-Art Digital Dentistry’를 통해 3D 영상 기술을 활용한 AnyTime Loading의 개념을 심층적으로 다루며 참가자들의 주목을 끌었다. 마지막으로 허영구 회장은 ‘Zero Failure Concept: Know-How for 100% Success in Immediate, Early, and Anytime Loading with the latest Innovations’을 주제로 최신 기술을 바탕으로 AnyTime Loading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핵심 노하우를 공유했다. 이후 진행된 키 닥터 세미나에서는 강연 주제를 바탕으로 한 연자들 간의 심도 있는 토론이 진행됐다. 또 허영구 회장이 네오의 ALX와 새롭게 선보이는 디지털 솔루션 ‘SmileArch Scanbody Kit’를 직접 시연하며 제품의 우수성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둘째 날 오전 세션에서는 Dr. Bart Silverman이 ‘Minimally Invasive Sinus Surgery Techniques’를 주제로 최소 침습 상악동 수술 기법을 설명했으며 이어 Dr. Pablo Urrutia가 ‘GBR in Full-Arch Rehabilitation’을 주제로 상악동과 소구치 부위에서의 GBR 적용법과 봉합 기법 등 실제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전수했다. 오후에는 Dr. Edgar Paul Gonzalez가 ‘Esthetic Zone Implant Placement Protocol Using the IS-III’를 주제로 IS-III 임플란트를 활용한 전치부 식립 프로토콜과 임상 전략을 소개했으며 Dr. Simon Dominguez가 ‘Guided Surgery Know-hows in Diverse Cases(TBD)’를 통해 IS-II 및 IS-III을 활용한 다양한 케이스에서의 수술 가이드 활용법을 발표했다. 이 밖에도 강연장 밖에서는 참가자들이 직접 네오 제품을 체험할 수 있는 전시 및 핸즈온 부스가 함께 운영됐으며 특히 참가자들은 ALX의 탁월한 성능과 기존 임플란트와 차별화된 디자인을 체험하며 큰 관심을 보였다.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가 투명 교정 세미나를 9월 초부터 시작한다. 오스템은 서울 마곡 소재 오스템 중앙 연구소 본사 EAST동 3층에서 ‘CLEARALIGN MASTER COURSE BASIC’을 9월 6일부터 진행한다. 내년 1월 11일까지 총 10회로 구성된 이번 교육은 이론부터 실습까지 포괄적인 내용이 담긴다. 이번 교육에서는 지대경 원장(서울메이교정치과)이 연자로 나서 '실전 케이스로 마스터하는 투명교정'을 대주제로 매직얼라인을 활용한 청소년과 성인 교정치료, 투명교정 치료 성공과 실패 사례 분석, 부정교합 증례별 치료 전략 등을 제시할 예정이다. 특히 베이직 과정에 맞춰 투명교정을 위한 기초 이론과 진단, 셋업, 장치 세팅까지 가장 많이 적용되는 세 가지 케이스를 마스터할 수 있도록 집중 구성했다. 아울러 실제 환자자료 파악 및 치열 분석, 인당 1모델, 교보재를 통해 실제 임상 환경과 흡사한 공간에서 실습을 진행해 볼 수 있도록 배치했으며 진단 및 치료 계획 세우기 실습도 별도 운영한다. 이번 세미나는 수강 페이지(https://education.denall.com/course-apply/556/N)를 통해 신청 가능하다. 수강생들에게는 매직얼라인 제작 쿠폰 1개(Short, Express, Lite A, Lite B 중 선택)와 50% 할인 쿠폰을 2개(Short, Express, Lite A, Lite B, Comprehensive 중 선택)를 증정한다. 단, 제작 쿠폰은 연수회 종료일 기준 6개월 이내, 할인 쿠폰은 2년 이내 사용이 가능하다. 오스템 관계자는 “이번 과정은 어렵고 힘든 교정 말고 즐기는 교정,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정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기획했다”며 “디렉터의 다양한 노하우를 이론 강의 및 실습을 통해 전달하는 데도 중점을 둔 만큼 많은 관심과 수강 신청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사)한국치과교정연구회(이하 KORI)가 실제 임상에서의 다양한 해법을 얻어갈 수 있는 학술 행사를 마련했다. KORI가 오는 9월 21일 유한양행 본사에서 ‘제33회 추계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InsightBrige: 교정의 현장, 경험을 연결하다’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추계 학술대회에서는 KORI 회원 등 7명의 국내외 연자들이 강연을 펼치고 조상훈 원장(조은턱치과의원)이 특별강연을 한다. 오전 세션은 박희주 원장(바른선치과)의 ‘과학으로 다시 읽는 사파-통합임상의 길을 찾다’, 위성준 원장(동림치과)의 ‘전치부 반대교합과 골격성 III 급 부정교합을 가진 성장기 여아의 치료’, 오진형 원장(희망을심는치과)의 ‘Face First? No, Habit Control First!’, 김호영 원장(이레치과)의 ‘안면 비대칭을 동반한 I 급 부정교합환자의 절충치료’와 장세원 원장(남악치과)의 ‘7년 걸린 골격성 II 급 부정교합 증례: 과연 좋은 치료일까요?’ 등의 강의로 채워진다. 이어 오후에는 하해근 원장(서울미치과)이 ‘좋은 보철 치료를 위한 간단한 치아이동’, Utkarsh Mangal 교수(연세대 구강생물학교실)가 ‘Considerations for In-office 3D Printing of Orthodontic Aligners’를 강의하고, 조상훈 원장이 ‘유년형 특발성 관절염(JIA)과 턱관절(TMJ)’에 대해 특강을 진행한다. KORI 관계자는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KORI는 새로운 기술과 접근 방식을 끊임없이 수용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그 과정에서 축적된 각자의 경험과 통찰을 바탕으로 펼쳐지는 회원들의 강의는 참가자들에게 다양한 임상적 해결책을 얻을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학술대회 사전등록 기간은 오는 9월 8일까지다. 등록비는 회원과 수련의는 10만원이고 비회원은 12만원이다. 사전등록 기간 이후인 9월 9일부터의 모든 등록자에게는 등록비 12만원이 적용된다. 신청 문의는 KORI 사무국으로 전화(02-741-7493, 4)나 이메일(korioffice77@gmail.com)로 하면 되고.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학술대회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등록할 수 있다. 한편 KORI는 제99기 신입회원 모집을 위한 임상교육을 오는 10월 12일부터 1년 과정으로 시작하는데 입회를 희망하는 치과의사의 학술대회 참여를 적극 환영한다고 밝혔다. 교육 커리큘럼은 KORI 홈페이지(www.kori.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교정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특별한 심포지엄이 찾아온다. 대한디지털교정치과의사회(이하 KSDO)는 오는 9월 21일 서울 마곡 오스템임플란트 대강당에서 2025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Reflecting Digital Orthodontics From Now to Next’를 대주제로 삼은 만큼, 국내‧외 저명 연자가 제시하는 디지털 교정의 최신 트렌드와 임상 전략을 한눈에 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KSDO는 이번 심포지엄에서 CBCT, 구강스캐너, 3D 프린터 등의 최신 장비 활용부터 AI 기반 진단 기술 및 3D 프린팅 얼라이너 시스템 등 차세대 디지털 워크플로우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증례 기반 실용 정보 대방출 강연은 디지털 교정의 기술 진보와 실제 임상 사례 중심의 실용적인 정보로 구성됐다. 특히 KSDO는 임상가가 실전에서 직면하는 문제 해결의 접근법을 제시하겠다고 전했다. 오전 세션은 ▲정동화 교수(죽전단국대치과병원)의 ‘Digitally Assisted Bone 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으로 포문을 연다. 이어 ▲이승민 원장 ‘Attachment는 수가 아니라 전략이다’ ▲민슈안 한(Minxuan Han) 교수(난징의대부속 쑤저우병원) ‘The Evolving Landscape and Future Horizons of Clear Aligner Traction System’ 등이 진행된다. 오후 세션은 ▲다이스케 토미타(Daisuke Tomita) 원장(Mirise Orthodontics)의 ‘Visualizing Patient Experience in Digital Orthodontics : 3D Clone and XR Innovattion from Japan’에서 시작한다. 이어 ▲지진우 원장(이미지치과) ‘Same-day dentistry를 이용한 혼합교정치료-투명교정, Try-in, 비니어’ ▲김지용 원장(김지용 치과교정과) ‘In-office 투명교정을 위한 셋업 프로토콜’ ▲백종찬 원장(이루미치과) ‘In-office 투명교정 시스템 활용 및 고려사항 – DPA(Direct Printed Aligner) 등이 펼쳐진다. 끝으로 심포지엄은 ▲하도원 원장(대구미르치과) ’Implant-Guided Orthodontics : Digital Workflow for Multiple Missing Teeth’ ▲김도현 원장(제주바른이 치과교정과) ‘Driving retractor and Putting aligner’로 끝맺음할 예정이다. KSDO는 “이번 심포지엄은 디지털 교정의 현재와 미래를 통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회원과 치과계의 많은 관심을 당부했다.